반응형

 

 

17년 대전광역시 9, 7급 공무원시험 일정 안내, 2016년도 일반행정직 합격선

  

이번에는 17년도 대전시 9급 및 7급 공무원시험의 시험일정과 원서접수기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죠.

   

17년도 대전시 9급 공무원시험의 필기시험일은 617일이지요. 모든 지방직공무원시험의 필기시험은 똑같은 날에 실시된답니다.

17년도 대전시 9급 공무원시험의 원서접수기간은 417~21일까지이니, 꼭 기억하셨다가, 원서접수기일을 놓치는 일이 없어야겠지요.

 

17년도 대전시 7급 공무원시험의 필기시험일은 923일이며, 원서접수기간은 731~84일까지입니다. 환경연구사와 보건연구사도 같은 날짜랍니다. 또한 9급 고졸 경력경쟁시험도 7급 필기시험일(4회시험)과 같은 날짜에 치러지며, 원서접수도 같은 날짜에 치러진다는 점 유념하셔야겠어요.

 

 

대전시를 포함해서 모든 지방직공무원 원서접수는 자치단체 통합 인터넷원서접수센터(http:// local.gosi.go.kr)에서 접수해야 한답니다. 원서접수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랍니다.

그리고 시험장소 공고와 합격자발표, 필기시험성적은 대전광역시 시험정보 홈페이지(http://gosi.daejeon.go.kr)에서 게시하고 있으니, 참조하세요.

 

   

17년도 대전시 9, 7급 공무원시험의 직렬별 시험과목 및 선발인원

     

 

 

거주지제한

 

대전시 지방직공무원시험에는 지역제한이 있지요. 지방자치단체에서 일하는 지방직 공무원시험이니까, 당연히 거주지제한이 있는 것이지요. 아래 둘 중 한가지 사항에 해당하면, 대전시 지방직시험에 응시할 수 있답니다.

 

2017년도 11일 이전부터 면접시험일까지 계속해서 대전광역시에 주민등록상의 주소가 있어야 할 것.

 

201711일 이전까지 대전광역시에 주민등록상 주소를 가지고 있는 기간의 총합이 3년 이상일 것.

 

 

 

 

- 응시연령 제한 -

 

, 특성화마이스터 고등학교 졸업(예정)자 경력경쟁임용시험은 2000.2.28.이전 출생자까지 응시 가능함

 

 

필기시험 배점, 시험시간, 합격자결정

 

대전시 공무원시험은 객관식 4지선다형이며, 과목당 20문제가 출제된답니다.

시험시간은 1문제당 1분의 시간이 배당되지요. 시험시간이 좀 빡빡하니까, 속도감있게 시험문제를 풀어야 한답니다.

 

 

  대전시 9급 및 7급 공개경쟁시험은 각 과목당 40% 이상을 득점한 자중에서 선발인원의 150%까지 성적순으로 필기합격자를 결정하며, 그 필기시험 합격자 중에서 면접시험을 통해서 선발인원만큼 최종합격자가 결정된답니다.

 

   

 

대전시 지방직공무원시험의 가산점 혜택

 

 

  공통적용 가산점 (전산직은 제외)

 

 

 

직군,직렬별로 적용되는 가산점

 

   

 

2016년도 대전시 9, 7급 지방직공무원시험의 합격선

   

16년 대전시 9급 지방직공무원시험 커트라인(합격선)

 

 

 

 

16년 대전시 7급 지방직공무원시험 커트라인(합격선)

 

 

 

 

 

 

 

 

 

 


Posted by 프린스.
,
반응형

 

2017년도 서울시 9, 7급 공무원 시험일정 안내, 일반행정직 커트라인

 

2017년도 서울시 공무원시험일정이 공고되었답니다.

2017년도 제2회 서울시 9급 및 7급의 공개경쟁채용시험의 시험일정을 알려드릴께요.

 

17년도 서울시 공무원시험의 공고에 따르면, 9급 일반행정직의 모집인원은 815명으로 작년도 642명에 비해서 많이 늘어난 인원이며, 7급 일반행정직의 선발인원은 41명으로 역시 예년에 비해 증가하였네요.

 

그리고 17년도 서울시 9급일반행정직 시간선택제의 모집인원은 70, 9급 지방세의 모집인원은 46, 9급 전산직의 모집인원은 7, 9급 보건직의 모집인원은 13명을 모집하고 있네요. 다른 직렬의 모집인원은 아래의 도표를 참고하시면 돼요.

 

17년도 서울시 공무원시험의 시험일정을 소개해드리지요.

이번 제2회시험에 함께 치러지는 서울시 9급과 7급 공개경쟁임용시험의 필기시험일과 원서접수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필기시험일은 624일이며, 면접시험일은 1016일부터 27일까지로 잡혀있네요.

 

그리고 17년도 서울시 공무원시험의 원서접수기간은 313일부터 17일까지이니, 원서접수일을 잘 기억하셨다가, 원서접수를 놓치시는 일이 없도록 하셔야 하겠지요.

   

 

서울시 공무원시험의 원서접수는 인터넷접수만 가능하며, 원서접수는 서울시인터넷원서접수센터(http://gosi.seoul.go.kr)에서만 접수가 이뤄진답니다. 이 사이트에 접속해서 원서접수의 모든 절차를 밟으면 되지요. 



2017년 서울시 9, 7급 공무원시험 직렬별 선발인원 



 

 

2017년 서울시 9, 7급 공무원시험의 시험과목

 

 

 

 

   

 

2017년 서울시 공무원시험의 제한사항

 

서울시 공무원시험에서는 거주지 제한이 없답니다. 대한민국의 국적만 있으면, 어느지역에 살던 상관없이 응시할 수 있지요서울시 공무원시험의 연령제한은 아래와 같지요.

 

7급 시험

20세 이상(19971231일 이전 출생자)

9급 및 8급 시험

18세 이상(19991231일 이전 출생자)

 

 

2017년도 서울시 공무원 필기시험일은 624일인데, 국가직 9급공무원 필기시험일은 48일로 잡혀있답니다.

국가직 시험을 먼저 보시고, 시험의 경향이나 난이도를 분석해본 후에, 다시 서울시 공무원시험을 보시면, 여러가지면에서 참고할 수 있답니다.

 

 

   

2016년도 서울시 9, 7급 공무원시험의 직렬별 커트라인(합격선)

 

2017년도 서울시 공무원시험은 아직 치러지지 않았으니, 2016년도 서울시공무원시험의 합격선을 알아보도록 하지요.

 

2016년도에 서울시 9급 일반행정직의 합격선은 398.74점으로 나왔고요. 참고로 16년 경쟁률은 79.9:1이었답니다. 또한 9급 일반행정직 시간선택제의 커트라인은 375.2점을 기록했답니다.

 

참고로 16년도 국가직 9급행정직의 합격선은 396.25점이었지요. 서울시보다 2점 정도 낮답니다.   

그리고 16년도 서울시 9급 지방세의 합격선은 394.8, 9급 전산직은 85점을 기록했었지요 

 

2016년도 서울시 7급 공무원시험의 합격선을 살펴보면, 7급 일반행정직의 합격선은 88.1, 7급 감사직의 합격선은 84.5, 7급 건축직의 커트라인은 76.2점을 기록했답니다.

다른 직렬의 합격선은 아래 합격선도표를 보시고, 확인하세요!

 

 

 

서울시 7급 공무원시험 합격선

 

 

아무래도 모든 직업군에서 가장 안정적인 직업이라고 하면, 바로 공무원이라고 할 수 있지요. 신분보장이 확실하고 평생직장으로서 자부심을 갖고 일할 수 있는 직업이 공무원이랍니다.

지금부터라도 체계적으로 학습해 나간다면, 소기의 좋은 결과를 얻을 실 수 있을 겁니다.

수험생여러분의 좋은 성과를 기원하겠습니다!

 

 

 

 

 

 

 

 

 

Posted by 프린스.
,
반응형

 

20179급 국가직 공무원시험일정 공고, 일반행정직 2016년도 커트라인

   

2017년도 국가직 9급 및 7급 공무원시험의 시험일정이 2일날 인사혁신처로부터 발표되었답니다.

 

2017년도 9급 일반행정직 공무원시험의 선발인원은 전국일반의 경우 243명이며, 지역일반의 경우 115명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국가직 9급 전국일반의 경우에는 2016년도의 89명보다 154명이 늘어났기 때문에, 시험합격의 기회가 그만큼 더 넓어졌다고 볼 수 있으므로 이번 기회를 절호의 기회로 삼아야 할 것 같습니다.

 

2017년도 9급 일반행정직의 지역일반의 선발인원은 115명으로, 2016년도의 126명보다 11명이 줄어든 인원을 모집하고 있으므로 이번시험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답니다.

 

또한 2017년도 9급 우정사업본부 지역일반의 모집인원은 총 462명으로, 2016년도의 156명보다 큰폭으로 정원이 늘어났답니다. 금년 시험이 인원면에서 아주 좋은 기회라고 볼 수 있답니다.


 

그리고 2017년도 9급 고용노동부 선발인원은 168명으로 2016년도 고용노동부 전국일반의 모집인원 95명보다 73명이 늘어난 인원입니다. 고용노동부 지역일반의 모집인원은 131명을 모집하고 있답니다.

 

이밖에 9급 교육행정직의 모집인원(일반)58, 9급 세무직(일반)의 모집인원은 1,015명으로, 2016년도의 1,460보다 445명이 줄어든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2017년도 국가직 9급공무원시험의 주요 직렬의 선발인원을 살펴보았는데요. 9급 일반행정직은 작년보다 3배 가까이 모집인원이 늘었는데 반해, 세무직은 1/3정도 그 모집인원이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2017년도 9급 국가직 공무원시험의 시험일정, 원서접수기간

 

17년도 국가직 9급 공무원시험의 필기시험일은 48이며, 원서접수일은 21일부터 26일까지로 잡혔는데, 지금으로부터 얼마 남지 않았으니, 원서접수일을 놓치면 모든 것이 수포로 돌아가므로, 반드시 기억해야 한답니다

 

응시 원서접수는 인터넷으로만 접수를 받으며, 사이버국가고시센터(http://gosi.kr)에 접속하여, 원서접수를 해야 합니다.

9급 국가직 공무원시험은 21~6일까지 사이버국가고시센터에서 원서접수를 받고 있으며,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원서접수를 받고 있지요.

 

참고로 17년도 국가직 7급 공무원시험의 필기시험일은 826일이며, 원서접수기간은 65일부터 9일까지입니다.

 

시 험 명

 

접수 및 취소기간

 

구분

시험장소

공고일

시험일

합격자

발표일

7급 시험

 

접수기간 6.5.~6.9.

 

필기시험

8.18.

8. 26.

10.12.

면접시험

10.12.

11.9.~11.11.

11.23.

9급 시험

 

접수기간 2.1.~2.6.

 

필기시험

3.31.

4. 8.

5.24.

면접시험

5.24.

7.11.~7.16.

8.1.

(원서접수시간 09~ 21)

 

   

참고로 2017년도 서울시 9급 및 7급 공무원시험의 필기시험일은 624일이므로, 참고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서울에 거주하시는 수험생분들은 국가직 9급 공무원시험을 치르고 난 후에, 2달 며칠 더 지나서, 서울시 공무원시험을 한번 더 치르시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어차피 국가직이나 서울시지방직이나 시험과목은 동일하니까 부담이 적을 것입니다.

 

  

 

2017년도 국가직 9급 공무원시험의 직렬별 시험과목, 선발인원

 

 

 

 

 

 

응시연령

 

시험명

응시연령(해당 생년월일)

7급 공무원시험

20이상(1997. 12. 31. 이전 출생자)

9급 공무원시험

18이상(1999. 12. 31. 이전 출생자)

9급 공무원시험 중 교정보호직

20이상(1997. 12. 31. 이전 출생자)

 

 

 

 

2016년도 9급 국가직 공무원시험의 커트라인(합격선)

 

 

2016년도에 치러진 국가직 9급 공무원시험의 커트라인(합격선)이 아래와 같으니 참고하셔서, 2017년도 국가직시험의 득점목표를 세워보시기 바랍니다.

 

2016년도 국가직 9급공무원시험의 일반행정직(전국일반) 커트라인(합격선)396.25점이며, 서울인천경기지역일반의 합격선은 그보다 2점 정도 낮은 394.42점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가직 9급 세무직은 361.37, 관세직은 373.66, 고용노동부(전국일반)의 커트라인은 379.94점이며, 교육행정직의 합격선은 386.67점을 기록하고 있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합격선

행정(일반행정 전국:일반)

396.25

행정(일반행정 지역:일반)

-

서울·인천·경기

394.42

/390.37(양성)

강원

373.81

대전·세종·충남·충북

389.67

광주·전남

383.13

전북

384.7

대구·경북

390.21

/387.10(양성)

부산

390.86

/387.47(양성)

울산·경남

389.09

/388.89(양성)

제주

385.38

행정(우정사업본부 지역:일반)

-

강원

362.7

대전·세종·충남·충북

371.77

/368.27(양성)

광주·전남

370.62

/365.99(양성)

전북

375.35

대구·경북

391.52

제주

369.78

서울

393.04

인천·경기

385.67

/384.04(양성)

경남

374.58

부산·울산

378.59

행정(회계:일반)

376.16

세무(세무:일반)

361.67

관세(관세:일반)

373.66

행정(교육행정 전국:일반)

386.67

행정(고용노동부 전국:일반)

379.94

행정(고용노동부 지역:일반)

-

서울

373.95

/372.90(양성)

인천·경기

376.93

/373.29(양성)

강원

352.4

/348.78(양성)

대전·세종·충남·충북

370.06

광주·전남

368.1

전북

376.77

대구·경북

381.54

부산

378.29

울산·경남

377.73

행정(병무청 지역:일반)

-

서울·인천·경기

385.35

강원

371.62

대전·세종·충남·충북

374.77

대구·경북

383.52

울산·경남

378.91

제주

366.18

행정(선거행정:일반)

385.29

교정(교정:)

338.64

교정(교정:)

360.07

보호(보호:)

360.64

보호(보호:)

370.83

검찰(검찰:일반)

367.55

마약수사(마약수사)

370.67

출입국관리(출입국관리:일반)

392.35

철도경찰(철도경찰:일반)

353.32

통계(통계:일반)

392.08

공업(일반기계:일반)

73

/72.00(양성)

공업(전기:일반)

74

/71.00(양성)

공업(화공:일반)

79

농업(일반농업:일반)

82.5

/81.00(양성)

임업(산림자원:일반)

83.5

시설(일반토목:일반)

83

/81.50(양성)

시설(건축)

82

/81.00(양성)

전산(전산개발:일반)

76

전산(정보보호:일반)

73

방송통신(전송기술:일반)

72.5

/70.00(양성)

방재안전(방재안전:일반)

68.5

장애인 계

-

행정(일반행정 전국:장애인)

349.98

/356.16(유공)

행정(일반행정 지역:장애인)

-

서울·인천·경기

346.72

강원

331.35

대전·세종·충남·충북

327.77

전북

303.6

대구·경북

317.48

행정(우정사업본부 지역:장애)

-

강원

240.77

대전·세종·충남·충북

284.98

광주·전남

303.23

서울

289.4

인천·경기

339.51

전북

293.22

부산·울산

291.91

경남

296.13

제주

284.94

세무(장애인)

266.56

/254.54(양성)

관세(관세:장애인)

285.72

행정(교육행정 전국:장애인)

334.26

행정(고용노동부 전국:장애인)

314.8

/308.44(양성)

행정(고용노동부 지역:장애인)

-

서울

328.47

인천·경기

282.62

강원

241.22

대전·세종·충남·충북

272.19

광주·전남

251.84

대구·경북

274.4

울산·경남

268.08

행정(병무청 지역:장애인)

-

서울·인천·경기

320.81

강원

전원과락

대전·세종·충남·충북

284.3

울산·경남

267.68

행정(선거행정:장애인)

301.61

통계(통계:장애인)

300.55

공업(일반기계:장애인)

48

공업(전기:장애인)

62

공업(화공:장애인)

73

농업(일반농업:장애인)

64.5

임업(산림자원:장애인)

42

시설(일반토목:장애인)

58

시설(건축:장애인)

62

전산(전산개발:장애인)

53

전산(정보보호:장애인)

전원과락

방송통신(전송기술:장애인)

52

저소득층 계

-

행정(일반행정 전국:저소득)

368.35

행정(우정사업본부 전국:저소득)

324.11

행정(교육행정 전국:저소득)

365.81

세무(저소득)

307.91

관세(관세:저소득)

324.28

행정(고용노동부 전국:저소득)

334.95

행정(병무청 전국:저소득)

327.67

행정(선거행정:저소득)

267.13

교정(교정:저소득)

303.87

보호(보호:저소득)

295.93

검찰(검찰:저소득)

333.84

출입국관리(출입국관리:저소득)

388.33

철도경찰(철도경찰:저소득)

269.86

통계(통계:저소득)

322.17

공업(일반기계:저소득)

전원과락

공업(전기:저소득)

66

농업(일반농업:저소득)

66

임업(산림자원:저소득)

73

시설(일반토목:저소득)

59

시설(건축:저소득)

50.5

전산(전산개발:저소득)

61

방송통신(전송기술:저소득)

47

 

 

 

 

 

 

 

 

 

 

 

Posted by 프린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