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32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중급 합격률 기출문제지 정답지, 33회 시험일정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우리나라 역사에 대한 기본적인 소양과 이해력을 측정하는 시험으로, 매년 해마다 4회씩 정기적으로 실시되는 시험이다.

 

일본이 독도문제나 위안부문제 등 우리나라와 관련된 역사를 왜곡하고, 심각한 도발을 지속하고 있고, 중국은 동북공정을 통해서 고조선과 고구려, 발해 등 고대시기의 우리역사를 심각하게 왜곡하고, 우리의 고대역사를 자신의 역사로 편입시키는 등 주변국들의 역사적인 도발이 계속해서 일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렇게 주변국가들에 의한 역사왜곡과 역사적 도발에 적절하게 대응하고, 우리 한국사의 위상을 올바르게 정립하기 위해서, 실시하는 시험이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이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한국인이라면 당연히 알고있어야 할 우리나라 역사의 전체적인 흐름과 기본적인 소양을 확인하고, 그 이해력을 측정하는 시험이다.

 

2016년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제30회부터 제33회까지 총 4차례에 걸쳐서 실시되고 있으며, 813일날 제32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이 실시가 완료되었고, 830일 합격자발표가 실시됐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시험유형과 수준 인증방법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한국사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얼마나 습득하고 있는지를 측정해서 인증하는 시험이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인증등급에 따라서 6개의 등급으로 나눠지고 있으며, 즉 평가등급에 따라 1급시험에서 6급시험까지 6개로 나눠지고 있다.

 

 

한구사능력검정시험1급시험과 2급시험은 고급등급의 시험으로 한국사에 대한 고도의 역사적 이해력과 분석력, 전문적인 지식을 묻는 시험이며, 3급시험과 4급시험은 중급수준의 시험으로 한국사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력과 각각의 역사전개 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과 이해력을 측정하는 시험이다.

 

5급시험과 6급시험은 초급시험으로 한국사에 대한 기초지식과 평이한 역사지식을 측정하는 시험이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1급시험과 2급시험이 동일한 시험문제지로 되어 있고, 3급시험과 4급시험이 동일한 시험문제지로 되어있고, 5급시험과 6급시험이 동일한 시험문제로 출제되고 있다.

 

각각의 시험유형에서 하위등급시험은 60점 이상을 맞아야 합격할 수 있고, 상위등급시험은 70점 이상을 획득해야 합격할 수 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서 당연히 1급시험과 2급시험이 가장 어려운 문제가 출제되며, 5급시험과 6급시험은 상당히 수월한 문제가 출제되고 있고, 3급시험은 어느정도 한국사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과 전체적인 역사의 흐름을 측정하는 문제들이 출제되는데, 2~3개월 정도 체계적으로 학습한다면 어렵지 않게 3급시험에 합격할 수가 있다.

 

시험구분

고급

중급

초급

인증등급

1(70점 이상)

3(70점 이상)

5(70점 이상)

2(60~69)

4(60~69)

6(60~69)

문항수

50문항(5지 택1)

50문항(5지 택1)

40문항(4지 택1)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필요성

 

그럼 굳이 왜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보아야만 하는가, 하는 의문점이 생길 수가 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치러서 합격하면, 인증서를 취득하게 되며, 이 인증서는 하나의 자격증과 같은 구실을 하여, 장차 공무원이나 공기업 등 회사에 취직하는 데에 있어서 혜택을 얻을 수가 있으며, 취직에 큰 도움을 얻을 수가 있기 때문에 시험을 보는 것이다.

 

실례로 국가 5급공무원시험(과거 행정고시)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2급 이상의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인증서를 획득해야만 응시할 수 있다.

또한 초등임용고시나 중등임용고시 등의 국공립 교사선발시험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3급 이상의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합격서(인증서)가 있어야만 응시할 자격이 생긴다.

 

그리고 각종 공기업이나 공사, 정부투자기관등에 입사지원하는 경우에도, ‘한국사능력검정시험3급이상의 인증서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인증서가 있으면 공기업이나 공공기관에 취직하는 데에 매우 유리한 위치를 점하게 된다.

 

 

또한 모든 공무원 경력경쟁채용시험에서도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자격증(인증서)가 있으면, 가산점을 부여하고 있어서 역시 임용되는 데에 유리한 측면이 있다.

 

이처럼 현재 5급공무원시험을 보거나, 공기업에 입사하거나, 교사채용시험을 보기 위해서는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자격(인증)이 있어야만 하며, 일반회사에 취직하는 경우에는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자격증을 갖추고 있으면, 입사에 가산점을 취득할 수 있어 유리하다.

 

이처럼 공직이나 사기업에 취업하기 위해서는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인증을 갖추는 것이 여러모로 유리하기 때문에, 현시점에서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요건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3회 시험일정, 원서접수기간

   

최근 2016813일에 제32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이 실시되었고, 금년 1022일날에 제33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이 치러질 예정이며, 33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원서접수기간은 913일부터 105일까지이다.

33회 시험의 합격자 발표일은 금년 118일이다.

 

33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원서접수일 - 913~ 105

   

구분

접수기간

시험일시

합격자발표

30

20151215() 13:00 ~ 2016

16() 18:00

2016

123()

2016

211()

31

2016419() 13:00 ~ 2016

511() 18:00

2016

528()

2016

614()

32

201675() 13:00 ~ 2016

727() 18:00

2016

813()

2016

830()

33

2016913() 13:00 ~ 2016

105() 18:00

2016

1022()

2016

118()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합격자발표는 응시생이 인터넷에 접속해서 한국사능력검정시험(http://www.historyexam.go.kr/)’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며, 자신의 성적조회도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며, 성적통지서와 인증서도 홈페이지에서 출력받을 수 있다.

   

시행부서인 국사편찬위원회에 따르면, 813일날 치러진 제32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평균합격률은 56.8%라고 하며, 31회 때보다 6%가 하락했다고 한다.

 

 

32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는 총 123.358명이 지원을 해서, 104,543명이 응시했다고 하며, 59,403명이 합격했으며 평균 56.8%의 합격률을 기록했다고 한다. 그러니까 전체 응시자 중에서 반이 좀 넘는 사람들이 합격했다는 것이다.

고급시험(1,2)의 합격자는 35,861명으로 55.6%의 합격률를 기록했으며, 중급시험(3,4)의 합격자는 17,992명으로 55.4%의 합격률을 기록했다고 한다.

 

32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기출문제지, 정답지

 

이번에 시행된 제32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기출문제지와 정답지는 한국사능력검정시험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다운받을 수도 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홈페이지를 방문해서 - 문제관리 - 시험자료실로 방문하면 기출문제와 정답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아래부분을 클릭하면, 32회 기출문제지와 정답지를 다운받을 수 있다 

 

제32회 한국사_문제지(중급).pdf

 

제32회 한국사_정답표(중급).hwp

 

 기출문제지는 PDF파일로 되어있기 때문에, 먼저 'nitro_pdf_reader' 라는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어야 볼 수가 있다. 정답지는 한글문서로 되어 있다.

 

 

 

 

 

 

 

Posted by 프린스.
,
반응형

 

20169급공무원 및 7급공무원 호봉표 실수령액, 1호봉보수

 

2016년도 공무원 연봉표(호봉표)가 발표되었다. 

1급공무원부터 9급공무원까지 일반직공무원과 특정직공무원, 그리고 일반직에 준하는 별정직공무원의 연봉표(호봉표)이다.

 

2016년도 올해 1급공무원의 1호봉 봉급은 363만원으로 책정이 되었으며, 7급공무원의 봉급은 1호봉 봉급은 167만원이며, 9급공무원 1호봉의 봉급은 134만원으로 정해졌다.

그런데 이 봉급액수는 군대 미필자가 처음 공무원에 입용될 때의 봉급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군대를 갔다온 남성의 경우에는 군대의 경력이 공무원경력에 추가되기 때문에, 3호봉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

 

2016년도 7급공무원의 3호봉 봉급은 182만원이며, 9급공무원의 3호봉은 147만원이다.

공무원봉급의 액수가 다른 공기업이나 민간기업의 봉급과 비교해서, 매우 적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위의 호봉표에 나와있는 공무원봉급이 전부가 아니라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2016년도 일반직 및 일반직에 준하는 특정직, 별정직 공무원등의 봉급표

 

 

2016년 경찰공무원, 소방공무원 및 전투경찰순경 등의 봉급표

 

 

공무원호봉표에 나와있는 봉급액수는 어디까지나 기본급을 의미한다. 공무원은 기본급 외에도 별도의 수당이 많이 추가되기 때문에, 실제로 공무원의 실수령액은 더욱 많아지게 된다.

 

위의 호봉표의 기본급여외에도, 공무원에게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수당은 급식비, 직급보조비, 가계보전수당, 상여수당 등 26종의 수당이 별도로 지급된다. 그러나 26종의 수당이 전부 모든 공무원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그 중 공무원들에게 공통적으로 지급되는 수당은 다음과 같다.

 

매월마다 13만원의 급식비 지급

매달마다 105천원의 직급보조비 지급 - 9급공무원의 경우

1월과 7월의 두 번에 걸쳐서 각각 0~50%의 정근수당의 지급

초과근무를 했을 때에 초과근무 수당을 지급

명절휴가비명목으로 월봉급액의 60%1년에 2차례로 나눠서 지급된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보너스가 연간 봉급의 500% 정도 금액이 지급된다.

공무원에게 별도로 지급되는 수당은 크게 가계보전수당, 상여수당, 특수근무수당으로 나눠진다.

 

가계보전 수당은 다시 가족수당과 자녀학비보조수당, 육아휴직수당으로 나눠진다.

가족수당은 배우자가 있을 경우 매월 4만원을 받으며, 배우자를 제외한 가족의 경우 매월 2만원씩 지급된다. 셋째자녀부터는 매월 3만원이 지급된다.

 

그리고 종고생자녀의 학비를 분기별로 지급해주는 자녀학비보조수당이 지급되며, 월 봉급액의 40%에 해당하는 육아휴직수당도 지급된다.

 

이외에도 상여수당으로 월봉급액의 4.1%를 지급하는 대우공무원수당이 있으며, 지금기준액의 0%~230%를 지급하는 성과상여금도 지급된다.

 

도서벽지에 근무할 경우 지급하는 특수근무지수당으로 3~6만원을 지급해준다.

 

 

9급공무원 1호봉의 봉급은 134만원으로 적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위의 수당들을 모두 다 합해보면, 그렇게 적은 금액은 아니며 어느정도 품위를 유지할 수 있는 봉급이 형성이 된다.

그리고 공무원은 매년마다 호봉이 올라가며, 호봉이 올라갈 때마다 봉급도 함께 상승하기 때문에, 9급공무원으로 임용되어서 5년에서 10년 정도 지나면, 봉급이 상당히 커졌다는 것을 실감할 수가 있게 된다.

 

9급공무원이나 7급공무원시험에 응시하시는 수험생여러분! 공무원봉급표는 기본급만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별도로 보너스와 각종 수당등을 합치면, 9급 및 7급공무원의 봉급이 결코 적은 금액은 아니므로, 열심히 시험준비를 하셔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시기를 바란다.

 

참고로 2017년도에는 공무원 보수가 평균적으로 3.5% 인상된다고 한다.

   

 

 

 

 

 

Posted by 프린스.
,